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생성자
- 스프링시큐리티
- qclass
- 상속
- 네트워크
- 형변환
- 파비콘에러
- static
- 자바
- MySQL
- 다운캐스팅
- 기초
- java
- http
- 한번에insert하기
- 메소드
- java기초
- JPA
- 스프링부트
- 레포지토리설계
- 엔티티설계
- Git
- 웹스토리지 사용법
- 업캐스팅
- 프로젝트
- 코린이
- 웹동작방식
- 0으로변환
- git commit취소
- 오버라이딩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IP (1)
딱콩이의 봄

IP Header time to live : 패킷이 영원히 살아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upper layer : TCP, UDP 등 전송해야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함 Flag 와 fragment offset 각 네트워크 라인은 MTU가 존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사이즈가 제한되어 있다. 따라서 사이즈가 큰 프레임은 쪼개서 전송되고 최종 목적지에서 이를 하나로 합쳐야 한다. 이 합치는 작업을 위해 존재하는 영역이 Flag 와 fragment offset이다. 사용예 가정 4000byte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 MTU 크기가 1500bytes 1.flag에는 마지막 조각인지 확인하기 위한 값을 입력한다. - 001 MF(More fragment) : 뒤에 분할된 데이터가 있다는 뜻 - 010 DF ..
개발/네트워크
2022. 9. 14. 18:3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