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생성자
- 프로젝트
- qclass
- 자바
- MySQL
- java
- JPA
- 웹스토리지 사용법
- 스프링시큐리티
- 업캐스팅
- 웹동작방식
- Git
- 오버라이딩
- git commit취소
- 스프링부트
- java기초
- 파비콘에러
- static
- 네트워크
- 상속
- 엔티티설계
- http
- 형변환
- 기초
- 코린이
- 다운캐스팅
- 한번에insert하기
- 레포지토리설계
- 메소드
- 0으로변환
Archives
- Today
- Total
딱콩이의 봄
웹 동작 과정에 대해 본문
웹은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?
일반적으로 우리는 웹을 브라우저라고 생각합니다. 브라우저를 통해 웹에 접속하기 때문인데, 이 브라우저에 원하는 정보를 띄우기 위해서는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해야 합니다!
url 주소를 브라우저에 치고, 네이버 페이지에 들어갈 때, 브라우저는 네이버의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는 응답을 해서 네이버 페이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됩니다.
1.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합니다.
2.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으로 서버의 진짜 주소를 찾습니다.
3.IP주소로 웹서버에 TCP 3 way handshake로 연결 수립합니다.
4.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로 HTTP 요청 메시지를 보냅니다.
5. 웹 서버는 HTTP 응답 메시지를 보냅니다.
6.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되고,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됩니다.
DNS란?
보통 인터넷의 특정 사이트에 접속 시 www.naver.com과 같은 알파벳으로 된 주소를 치는데, 서버가 이 알파벳 주소를 알고 네이버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일까요?
DNS는 일반 사용자가 인터넷을 편리하게 쓰게 해주는 것입니다! 영문/한글 주소를 IP 네트워크에서 찾아갈 수 있는 IP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죠. 인터넷상에서 최초로 구성된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로 계층구조의 형식입니다!
ROOT DNS Server, TLD(최상위 도메인) DNS Server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!
'개발 > 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(0) | 2022.10.03 |
---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