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업캐스팅
- 코린이
- 웹동작방식
- 오버라이딩
- 생성자
- 한번에insert하기
- MySQL
- static
- 파비콘에러
- 기초
- 스프링시큐리티
- 레포지토리설계
- 형변환
- java기초
- Git
- 메소드
- JPA
- 프로젝트
- 자바
- 다운캐스팅
- 웹스토리지 사용법
- 스프링부트
- 엔티티설계
- git commit취소
- http
- qclass
- java
- 0으로변환
- 상속
- 네트워크
Archives
- Today
- Total
딱콩이의 봄
네트워크 계층 본문
네트워크 계층이란
네트워크 계층은 트랜스포트 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얻어 각 세그먼트를 데이터그램으로 캡슐화하고, 인접한 라우터에게 데이터 그램을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.
Forwarding & routing
forwarding
패킷이 라우터의 입력 링크에 도달했을 때, 그 패킷을 적절한 출력 링크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합니다.
routing
패킷을 이동시킬 때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, 이러한 알고리즘을 라우팅 알고리즘이라 합니다.
즉, forwarding table을 채워넣는 알고리즘입니다.
라우터의 구조
입력 포트/출력포트
1.물리적 계층(line termination)
2.데이터 링크 처리(프로토콜, 캡슐화) (ex. 이더넷)
3.검색, 포워딩, 큐잉(큐잉은 데이터그램 도착이 스위칭보다 빠른 경우 데이터그램을 큐에 쌓아 넣는다.)
'개발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드락(Dead Lock) (0) | 2022.09.16 |
---|---|
IP(Internet Protocol) (0) | 2022.09.14 |
텍스트 파일 vs 바이너리 파일 (0) | 2022.08.31 |
GET, POST (0) | 2022.08.31 |
HTTP의 특징 (0) | 2022.08.17 |
Comments